티스토리 뷰
반갑습니다. 오늘 이시간엔
4대보험, 아르바이트 신고 무엇이 이득일까?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갈까 합니다.
먼저 일용직의 경우엔,
하루 원천 징수세액이 1000원 밑일 경우엔 소액부징수로 '세금'을 부과하지 않습니다.
즉 ,15만원까지는 세액이 부과 되지 않지만
18만원까지도 납부할 세액은 없습니다.
그전에 알바를 고용하셨으면
원칙적으로는 일용직 또는 상용 '근로자'로
표에 정리한 근무형태에 따라 '세금'을 공제하고 사대보험을 가입해야하군요.
다만…! 주변에 보면 아르바이트 3.3% '세금' 공제하는 곳이 많죠 ?
고용주 상황에선 반 부하하는 사대보험이 없어서 좋고,
아르바이트생 상황에선 3.3% 때는것이 당장의 월급에도 공제금액이 적어서 좋고,
그렇게해서 벌어드린 금액이 총 2000만원 이하라면 종합 소득세 신고를 통해서
3.3% 냈던 '세금'을 모두 돌려받으니
알바생이 그전에 나서서 3.3%를 공제해달라는 경우도 종 종 있구요.
다만 아르바이트를 비즈니스 소득자로 신고하면 문제점이 있구요.
비즈니스 소득자란 , '근로자'가 아닌 인사용역을 제공하는 비즈니스자를 의미하는것으로
고용계약 상관 여부-근로시간을 마음대로 정 할 수 있는지 / 업무 범위를 독립적으로 정 할 수 있는지 등
비즈니스 소득자는 '근로기준법'상의 '근로자'가 아님 '
오히려 비즈니스 소득이 클 경우 다음해에 지역가입자로 '건강'보험료가 나올 수 있고
또 <실업급여>를 받고 싶어도 ,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기 하여서
계약이 종료되거나 권고사직을 당해도 <실업급여>를 받을 수 없으며
산재처리 하물며 받지 못하는 불이익이 있구요.
정말 고용보험,산재보험이 요구한 경우에는
소급 가입되고, 그사이 납부 하지 않은 보험료에 대해서 납부 하여야 하며
과태료 하물며 부과 될 수 있구요.
아르바이트를 근로 소득이 아닌 비즈니스 소득이자 3.3%로 신고 할 경우에는
발생 할 수있는 오류가 또 있구요.
그건 즉각 퇴직금이에요.
먼저 소설드렸듯이 비즈니스 소득은 '근로기준법'상의 '근로자'가 아님으로
퇴직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.
다만 판례에선 실질에 따라 고용상관가 입증되면
퇴직금을 줘야한다고 하군요.
알바를 고용한다는것은 고용상관가 형성되는
근로자'를 고용하는것임으로 퇴직금이 발생하면 주는것이 맞지만
굳이 신고를 달리하여 논란을 만드는것은 불요구한것 같군요 ^^
'live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낫또 칼로리와 효능 먹는방법에 대하여 (0) | 2020.08.12 |
---|---|
캄보디아 환율조회방법, 여행전 필수로 챙겨보자! (0) | 2020.08.04 |
특이한 태명 모음집, 의미 포함 (0) | 2020.07.22 |
다쓴 부탄가스통 버리는 방법에 대해 살펴봅시다. (0) | 2020.07.14 |
명절 귀경길 귀성길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 (0) | 2020.07.12 |